반응형 전체 글107 대학 무전공 입학& 긍정적인 면, 부정적인 면 &입시에 끼칠 영향 대학 무전공 입학무전공 입학이란, 전공을 정하지 않은 상태로 입학한 뒤 2학년 진급 시 전공을 선택하는 제도입니다. 1학년 때 기초 교양과목을 이수하면서 적성과 진로를 확인한 뒤 전공을 선택하라는 취지로, 현재 일부 대학에서도 자유전공학부라는 이름으로 시행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1%가 되지 않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교육부는 이를 의무화하게 하는 대신 대학교에서 무전공 입학을 늘리도록 성과급(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하였습니다. 교육부가 학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해 대학에서 학습하며 전공을 선택하게 하는 '전공 자율 선택제'를 시행하는 대학에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한 것입니다. 대학교 등록금을 동결하도록 한 현재 상황에서, 인센티브 지급은 대학교에서 거부할 수 없는 제안입니다. 당초 '무전공'.. 2024. 2. 14. 의대 정원 증원 발표& 의대 증원 2천명& 입시에 끼칠 영향 의대 정원 증원 발표 정부가 2025학년도 입시 전형부터 의과 대학의 정원을 2000명 늘리기로 발표했습니다. 3058명에서 5058명으로 정원이 늘어나는 것입니다. 그 동안에는 의대 정원을 1000명 정도 늘릴 것으로 예상을 했는데 이보다도 훨씬 더 많은 숫자입니다. 의대는 현재 ‘전문직’, ‘안정성’, ‘높은 급여 수준’의 이유로,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라면 우선적으로 의대를 지망하고, 좋은 대학에 다니더라고 n수를 하여 의대에 입학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에 가도 취업이나 고용의 안정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의대 열풍은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의대 정원을 파격적으로 늘리는 것은 의사 수가 부족한 지역에서 필수의료의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는 심각한 위.. 2024. 2. 11. 손가락 손바닥의 고름 수포 손의 물집 등 한포진 증상 원인 및 대처 방법(완결편) 한포진 1,2편에 이어서, 집에서 완치기 마지막 완결편으로 정리를 해 보려고 합니다. 증상이 시작되었을 때저는 현재는 증상이 있었던 손가락과 손가락 근처의 손바닥에 수포가 없습니다. 그리고 손톱 변형은 아직 손톱에 남아있지만 새로 자라는 손톱에는 변형이 없습니다. 그래서 기존 변형된 손톱이 자라 깎여나가면 새 손톱이 예쁘게 자리잡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는 재발하지 않을 거라는 확신을 하지는 못합니다. 이전에 이미 재발을 경험했기 때문입니다. 이미 두 번의 한포진 증상을 겪었습니다. 처음은 몇 개월이었지만, 두 번째 재발은 2.6년이었습니다. 이제는 한포진하면, 지긋지긋하기도 하고 자라보고 놀란 마음 솥뚜껑 보고 놀라듯이 물집, 수포 비슷한 것만 봐도 놀랄 것 같습니다. 만약에 재발의 증상이 .. 2024. 2. 10. 손가락 손바닥의 고름 수포 손의 물집 등 한포진 증상 원인 및 대처 방법(한포진 완화를 위한 습관, 완치 방법) 2편 한포진 재발이사 후 재발된 한포진 증상은 2년 6개월이나 계속 되었습니다. ‘수포-진물-진물이 터지고-피부가 손상되어 갈라짐과 통증이 생기고’ 이 과정이 계속 되었습니다. 정~말 평생 이 증상과 함께 해야 하나보다 체념을 하기도 했다가, 아픔과 불편함이 심할 때는 도대체 어디에 가서 살아야 하나, 공기 좋은 곳에 가서 살아야 하나 등 오만가지 생각이 제 머리 속에 들어왔다 나갔다 했습니다. 병원에서 주사, 약물, 연고(스트로이드제) 처방을 받아 치료를 하면 그 때는 좋아지다가 다시 병원에 다니지 않으면 재발되는 것은 일상이었습니다. 의사 선생님께도 좋아지면 오지 않아도 된다고 하셨고, 좋아져서 병원에 안 가면 다시 재발되고, 그러면 다시 병원에 가고 이런 생활을 반복하였지만, 직장으로 병원을 자주 갈 .. 2024. 2. 9.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2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