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09

인천 부동산의 미래(김학렬, 2022년 7월 발간) 116P인천광역시 평균 이상 지역들인 연수구(송도)와 부평구는 인천 자체 수요만으로도 대기 수요가 있습니다. 반면, 남동구, 서구, 미추홀구, 중구, 계약구, 동구는 평균 이하 지역이죠. 그런데 자체 대기 수요가 있다는 남동구까지는 평균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부평구급으로 봐도 될 것 같아요. 143P송도는 2023년 입주물량이 많으니까 혹시 갈아타기를 할 사람들은 이 때를 한번 노려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146P동춘동 아파트/ 연수동 아파트 정리: (i: 아마도 재건축을 생각하고 내가 붙여놓은 듯) 149옥련동 아파트 중 원흥 1994년, 백산1차 1994년 154그러니 잘 되는 입지 옆에 한동안 분양이 안 되다가 분양이 되는 경우 항상 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미분양이 난다면 잡으세요. 세대수가 적.. 2024. 11. 18.
주식에서 상승장이란? 1. 상승장- 상승장은 주식 시장에서 자산 가격이 최근 최저점 대비 20%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기를 말한다. - 상승장은 일반적으로 몇 개월에서 7년 이상까지 지속될 수 있다. 2. 상승장의 특징(1) 강력한 경제- 상승장은 일반적으로 경제가 호황일 때이다. 성장하는 GDP,  시장의 성장은 고용률 증가 등의 경제 호황을 보인다.- 더 많은 회사가 이익을 재투자하고 인력을 증강시키며,  개인의 처분가능한 소득과 소비력이 높아진다.(2) 시장 성과의 증가- 주식 가격이 급등하는 것은 또한 상승장의 명확한 신호이다.(3) 증가한 공모 주식(Initial Public Offering, IPO)- 기업들이 IPO를 고려하고 초기 자금 조달을 시도한다. 3. 상승장의 원인(1) 저금리- 투자자들은 금융기관.. 2024. 11. 4.
주식에서 약세장(하락장)이란? 1. 약세장- 하락장은 일반적으로 최근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한 주가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 낮은 소비자 신뢰도, 부정적인 시장 정서와 맞물려 발생한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로 인해 약세장이 발생하고 투자자들의 비관론이 확산된 것이 역사적 예이다.  2. 약세장의 평균 지속 기간: 286일(약세장은 짧게는 몇 주, 길게는 몇 년까지 지속될 수 있다.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년)  3. 약세장과 조정의 차이점약세장을 2개월 미만 지속되는 단기 추세인 조정과 혼돈해서는 안 된다. 조정은 가치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좋은 시기를 제공하지만, 약세장은 적절한 진입 시점을 제공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러한 장벽이 존재하는 이유는 하락의 바닥을 판단하는 것의.. 2024. 11. 4.
(채권 수익률 곡선) 커브 스티프닝: 베어 스티프닝, 불 스티프닝 / 커브 플래트닝: 베어 플래트닝, 불 플래트닝 채권 수익률 곡선 (YC, Yield Curve)- 커브 스티프닝과 플래트닝은 각각 불(강세ㆍ금리하락)과 베어(약세ㆍ금리상승) 두 가지로 나뉜다.    1.  커브 스티프닝(curve steepen) : 채권 수익률 곡선이 이전보다 가팔라진 경우 - steepen : 더 가팔라지다, 가파르게 만들다- 스티프닝은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는 현상- 향후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을 때, 단기물 수요가 늘고 장기물 수요가 줄면서 장ㆍ단기 금리 차가 커지는 커브 스티프닝이 나타난다.- 베어 스티프닝은 물가 상승 기대가 높아지면서 장기 금리가 상승해 경사가 가팔라지는 현상이고, 불 스티프닝은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단기 금리가 하락해 커브가 서는 현상이다.  (1) 베어 스티프닝 (bear steepeni.. 2024.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