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4

십대들이여, 수학에 올인하라(by 조안호) 1. 부모는 매니저에서 멘토로 변신해야 한다. -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가 좋아야 한다.- 아이에게 끊임없는 신뢰를 보낸다. - 든든한 후원자가 옆에 있음을 느끼게 하라.- 아이가 어려워 할 때 멘토의 역할은 빛을 발한다. (슬럼프를 가장 빠르게 극복하는 방법은 잔인하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그 자리를 지키는 것이다. 운동 선수도 슬럼프가 왔을 때 평소 연습량ㅇㄹ 늘림 피눈물 나는 노력을 하며 자리를 지켰다고 한다.)- 대학교에 가서 열심히 하라는 말을 하지 마라 2. 아이가 문제를 틀렸을 때- 자세히 설명해 주는 것이 과연 효과가 있을까? - 가장 효과가 높은 교육은 아이의 생각을 따라가면서 논리의 오류가 되는 부분을 교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장 먼저 아이에게 답이 맞았든 틀렸든지 간에 자신이 푼 .. 2025. 8. 12.
수학을 공부하고 있다는 착각(by 조안호, book 정리) 1. 개념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야 한다.2. 수학은 연역법으로 배우고 풀어야 한다.3. 개념을 배웠다면 시간을 충분히 주고 처음부터 어려운 문제들만 풀거나 그냥 힘화 문제집부터 풀려라.(정답률 70~80%를 맞는 쉬운 문제집을 계속 풀면 의도와 상관없이 계속 문제집을 풀어야 해서 심화를 못하게 된다.)4. 수학실력의 변화는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계단처럼 상승하는 '비약적 성장'이다.5. 필자가 강의를 하는 경우에는 강의시간 전부를 개념 이해를 위한 설며에 쏟고 예재 문제 등 어떤 문제도 풀어주지 않는다.6. 필자의 개념 사전으로 해당 개념을 찾아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을 알아내려고 해야 한다. 7. 고등학생이 되었을 때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것을 세뇌시켜야 한다. 8. 개념이 잘 잘자라고 있는지 확인하는.. 2025. 8. 12.
이선철 대표의 증시 전망 요약 1. 단기 반등 가능성, 중기 하락 리스크최근 시장은 단기적인 베어마켓 랠리가 가능하더라도, 2~3년 시계에서는 하락 여지가 크다고 경고합니다.2. 금리 역전과 채권 시장의 불안단기금리가 장기금리를 넘어선 역금리 구조는 경기 침체 가능성과 함께 장기금리 정상화 전까지 금융시장 전반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3. 장기금리 상승 가능성과 주식 리스크인플레이션이 장기화되면 장기금리 상승 압력이 크고, 이는 주식 등 자산 시장에 대한 투자 심리를 억제할 수 있습니다.4. 원자재와 한국 주식에 기회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원자재 자산(금·은·리튬 등)**이 유망하며, 한국 주식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매력적일 수 있다고 평가합니다.5. 미국의 구조적 한계단순 무역 이슈를 넘어선, 미국 내부의 구조적·정치적 한.. 2025. 8. 11.
금리 인하 이후, 증시 하락폭과 하락 기간& 회복 기간(feat: 강영현 이사 뷰를 중심으로 역사적 데이터 살펴보기) 1. 2001년 닷컴버블 붕괴금리 인하 시작: 2001년 1월 3일 (6.5% → 첫 인하)지수 기준: 나스닥 종합지수/ S&P500하락폭: 약 -78% (5,048 → 1,108)/ 약 -49%하락 기간: 약 2년 7개월 (2000년 3월 고점 → 2002년 10월 저점)특징: 금리 인하에도 IT 기업 실적 붕괴와 과대평가 해소로 폭락 지속. 2. 2007~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금리 인하 시작: 2007년 9월 18일 (5.25% → 첫 인하)지수 기준: S&P500하락폭: 약 -57% (1,565 → 676)하락 기간: 약 1년 5개월 (2007년 10월 고점 → 2009년 3월 저점)특징: 신용경색, 리먼브라더스 파산, 금융 시스템 붕괴로 단기 급락. 3. 1970~80년대 미국 경기침체여기서는.. 2025.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