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증시가 하락할 때 역사적으로 저점에 가까워졌다는 신호로 해석되는 몇 가지 지표와 논리가 있습니다. 이는 단기적인 반등 가능성이나 장기적인 저점 형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 미국 증시 하락 시 저점에 가까워졌음을 시사하는 주요 논리 및 지표
1. 공포와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 CNN이 제공하는 이 지수는 투자자 심리를 나타냅니다.
- 수치가 극단적인 공포 (Extreme Fear) 상태에 도달하면 역사적으로 반등이 자주 일어났습니다.
- 많은 투자자들이 너무 공포에 질려 매도한 후 시장이 반등하는 패턴입니다.
2. VIX 지수 (Volatility Index, 변동성 지수)
- "공포 지수"라고도 불리는 VIX가 30~40 이상 급등할 경우, 과거에는 시장이 저점에 가까워진 경우가 많았습니다.
- 이는 투자자들이 리스크를 회피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3. AAII 투자자 심리조사 (개인투자자 심리지표)
- 개인투자자들이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 비관적 의견이 급증하면, 반대로 시장이 저점일 가능성이 높다는 '역설적 심리' 접근법입니다.
- 역사적으로 약세 심리가 60% 이상이면 저점을 형성한 경우가 많습니다.
4. 기술적 지표 – RSI (상대강도지수)
- RSI가 30 이하로 하락하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되며, 저점 신호로 해석됩니다.
- 특히 S&P500 전체가 과매도 국면이면 반등 가능성이 커집니다.
5. 주가 대비 실적 (P/E Ratio)의 역사적 평균 하회
- S&P500의 P/E 비율이 역사적 평균(15~16배) 이하로 내려올 경우, 저평가 구간으로 인식되어 저점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6. 모멘텀 반전 패턴
- 급락 이후 일정 기간 하락폭이 줄어들며 거래량이 증가하면, 저점 형성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
🧠 결론적으로…
미국 증시의 저점은 심리적·기술적·기초적 요소가 종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런 지표들이 한꺼번에 과도한 공포와 과매도를 보여줄 때, 역사적으로 저점과 가까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물론, 이는 확률적 신호이지 확정은 아니며, 다른 거시 경제 상황 (예: 금리, 고용, 인플레이션 등)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RSI 확인 방법 3가지
1. TradingView (트레이딩뷰) – 무료, 직관적
- 웹사이트: https://www.tradingview.com
- 사용법:
- 상단 검색창에 종목 입력 (예: S&P 500 → SPX 또는 SPY)
- 차트 화면에서 [기술 지표] 버튼 클릭
- RSI 입력 후 추가하면 차트 하단에 RSI 지표가 표시됨
- RSI 30 이하: 과매도, 저점 가능성
RSI 70 이상: 과매수, 고점 가능성
2. Yahoo Finance
- 웹사이트: https://finance.yahoo.com
- 사용법:
- 원하는 종목 검색
- Chart → Indicators → RSI 선택
3. 한국 증권사 HTS / MTS
- 키움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등 대부분의 국내 증권사 프로그램에서도 RSI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통 “기술적 분석” 탭에서 RSI를 선택하면 바로 차트에 표시됩니다.
🧠 참고: RSI 계산 방식 (심화)
RSI는 보통 14일 기준으로 계산하며 다음과 같은 공식이 사용됩니다:
RSI=100−(1001+RS)RSI = 100 - \left( \frac{100}{1 + RS} \right) RS=평균 상승폭평균 하락폭RS = \frac{\text{평균 상승폭}}{\text{평균 하락폭}}하지만 직접 계산하기보다는 위에 소개한 툴을 활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훨씬 편리합니다.
💡 보너스 팁: RSI는 단독 지표보다는 MACD, 이동평균선 등 다른 지표와 함께 해석하면 더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미래에셋증권 앱 (m.Stock)에서 RSI 확인하는 방법
🔹 1. 앱 실행 후 로그인
- 앱 이름: m.Stock 또는 미래에셋증권 MTS
-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미래에셋 m.Stock" 검색
🔹 2. 종목 검색
- 상단 검색창에서 관심 종목 입력
예: 삼성전자, S&P500 ETF (예: TIGER미국S&P500)
🔹 3. 차트 보기 진입
- 종목 화면에서 [차트] 탭 클릭
- 기본적으로 일봉 차트가 나타납니다
🔹 4. 보조지표 설정
- 차트 위 또는 하단에 [보조지표] 설정 버튼 (톱니바퀴 아이콘 또는 “지표 추가”로 표시)
- 여기서 RSI 선택
일부 앱 버전에서는:
메뉴 → 차트설정 → 보조지표 → RSI 체크 후 적용
🔹 5. RSI 해석
- 보통 RSI는 0~100 사이의 수치를 보이며,
- 30 이하: 과매도 (저점 가능성)
- 70 이상: 과매수 (고점 가능성)
🧠 참고 팁
- RSI 외에도 함께 보면 좋은 보조지표:
- MACD (이동 평균 수렴/발산)
- 이동평균선 (5일, 20일, 60일, 120일 등)
- 거래량
✅ 1. MACD (이동 평균 수렴·발산)
📌 개념
- 두 개의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추세의 전환을 파악합니다.
- MACD 선과 시그널 선이 교차할 때 매매 신호로 해석됩니다.
📈 보는 법 (m.Stock 기준)
- 종목 → 차트 → [보조지표] → MACD 선택
- 하단에 MACD 선(파란색)과 시그널 선(빨간색)이 나타남
🧠 해석법
- 골든 크로스 (MACD ↑ 시그널): 매수 신호
- 데드 크로스 (MACD ↓ 시그널): 매도 신호
- MACD가 0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 아래면 하락 추세
✅ 2. 이동평균선 (5일, 20일, 60일, 120일선)
📌 개념
- 특정 기간 동안의 평균 주가로 추세 방향과 지지/저항선을 파악합니다.
- 장기선과 단기선의 교차가 중요한 매매 신호로 작용
📈 보는 법 (m.Stock 기준)
- 종목 → 차트 → 차트 위쪽 [지표] → 이동평균선 추가
- 기본적으로 5일선만 표시되며, 20/60/120일선 추가 가능
🧠 해석법
- 단기선이 장기선을 상향 돌파: 상승 신호 (골든 크로스)
- 단기선이 장기선을 하향 돌파: 하락 신호 (데드 크로스)
- 주가가 120일선보다 위에 있으면 장기 상승 추세, 아래면 장기 하락 추세
✅ 3. 거래량 (Volume)
📌 개념
- 특정일의 주식 매매량을 나타냅니다.
- 가격과 거래량이 함께 증가하면 강한 추세를 의미합니다.
📈 보는 법 (m.Stock 기준)
- 차트 하단에 기본적으로 표시됨
- 특정 일의 막대 길이가 거래량이며, 전일 대비 증가 여부 확인 가능
🧠 해석법
- 상승 + 거래량 증가: 강한 매수세, 추세 지속 가능성 높음
- 상승 + 거래량 감소: 단기 반등 가능성, 추세 약함
- 하락 + 거래량 급증: 투매 또는 손절성 매도 → 바닥 가능성 또는 추가 하락 주의
🔁 종합적으로 함께 보는 팁
조합해석
RSI 30 이하 + MACD 골든크로스 + 거래량 증가 | 바닥권 반등 가능성 (매수 유력) |
RSI 70 이상 + MACD 데드크로스 + 거래량 감소 | 고점에서 하락 전환 가능성 (매도 또는 관망) |
주가가 60일/120일선 위에서 지지 받고 거래량 증가 | 중기 상승 추세 지속 신호 |
반응형